벌써 구동사 시리즈 세 번째 시간이네요! 오늘은 "go off"라는 구동사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 이 동사구는 "(알람, 벨 등이) 울리다", "(전원이) 꺼지다"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데요. 몇 가지 예문, 그리고 짧은 대화 지문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본격적으로 살펴보기 전에, 먼저 "go"와 "off"의 대략적인 의미를 알고 접근하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go 동사는 흔히 알고 있는 앞으로 나아가는 의미 외에도 맥락에 따라 "되다"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. "되다"의 의미로 쓰이는 것 중 가장 많이 알려진 표현은 "(음식이) 상하다"가 아닐까 싶은데요. 간단히 "go bad" 혹은 "go off"라고 표현할 수 있답니다. 😊 그리고 off 전치사는 예상 수준에서 멀어지거나, 부정확하거나 작동하지 않는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. (물론 언급한 의미 외에도 맥락에 따라 또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! 😉)
따라서, go off는 "off 되다"라는 느낌을 가지고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. "off 하다"가 아닌 "off 되다"인 것에서 알 수 있듯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사건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.
1. (알람, 벨) 울리다
"go off"는 일반적으로 알람, 불꽃놀이, 사이렌과 같이 크고 갑작스러운 소음이나 폭발과 같은 것을 묘사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모두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큰 소리가 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.
1-1. 예문
I forgot to turn off the alarm this morning, so it went off at 5 am.
오늘 아침에 알람을 끄는 걸 깜박해서, 오전 5시에 알람이 울렸어.
* turn off와 go off의 차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 😀
The fire alarm went off and we had to evacuate the building.
화재경보기가 울렸고 우리는 건물에서 대피해야 했어.
My phone went off in the middle of the meeting and I was so embarrassed.
회의 중간에 전화벨이 울려서 너무 당황스러웠어.
The timer on the oven went off, signaling that the cookies were ready.
쿠키가 준비되었음을 알리는 오븐 타이머가 울렸다.
💬 Conversation
A: What's that noise?
저 소리 뭐지?
B: It sounds like the smoke detector, it must be the batteries.
연기 감지기 소리 같은데, 분명 배터리 문제일 거야.
A: I'll go get the ladder so we can change them.
사다리 가지러 갈게. 저거 교체할 수 있게.
B: Thanks, it's really annoying.
고마워, 소리가 정말 짜증 난다.
(A few minutes later)
몇 분 후
B: Did you hear that? The doorbell went off.
들었어? 초인종이 울리던데.
A: I didn't hear it, I was up on the ladder. Who could it be?
못 들었어. 사다리 위에 있었거든. 누굴까?
B: I don't know, let me go check.
모르겠어, 가서 확인해 볼게.
2. (전원이) 꺼지다
여기에서도 "(전원을) 끄다"가 아닌 "(전원이) 꺼지다"인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"전등을 끄다"는 "turn off the light"라고 표현하는데요. 이 표현은 의도적으로 불을 끌 때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. 반면에 "the light goes off"는 예기치 않게 불이 꺼졌을 경우를 의미합니다.
Q. 그렇다면 go off는 수명이 다 되어 전원이 꺼지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인가요?
A. 아닙니다. 꼭 조명이나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지 않더라도, 정전과 같은 전기 시스템 문제 때문에 꺼지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2-1. 예문
The power went off in the middle of the storm.
폭풍이 치는 와중에 전원이 꺼졌어.
The water supply went off for several hours due to a pipe burst.
수도관 파열로 몇 시간 동안 물 공급이 끊겼어요.
* burst: 파열
It's getting cold. The heater must have gone off.
점점 추워지네. 히터가 꺼졌나 봐.
* must have p.p: -이었음에 틀림없다.
💬 Conversation
A: Why is it so dark in here? Did the lights go off?
여기 왜 이렇게 어두워? 불이 나갔나?
B: No, I turned it off. I thought everyone had already left.
아니, 내가 껐어. 다들 이미 나간 줄 알았는데.
A: That's okay. It's better for the environment if we turn off the lights when we're not using them.
괜찮아. 사용하지 않을 때 불을 끄는 게 환경에 더 좋으니까.
오늘은 구동사 go off로 "(알람, 벨 등이) 울리다", "(전원이) 꺼지다"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 배워보았는데요. "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사건을 묘사할 때" 사용한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. 오늘도 힘내시고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! 😘
✨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✨
[실생활 영어] - make out의 활용 ①: 스킨십하다/(양식, 문서를) 작성하다
make out의 활용 ①: 스킨십하다/(양식, 문서를) 작성하다
구동사(phrasal verb)의 매력은 하나의 표현을 배워두면 여러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 오늘은 구동사 시리즈 두 번째로 make 동사가 들어가는 표현인 make ou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rtow.tistory.com
[실생활 영어] - make out의 활용 ②: 알아내다 / 해결하다
make out의 활용 ②: 알아내다 / 해결하다
이전 포스팅에서 "make out"으로 "스킨십하다", "(양식, 문서를) 작성하다"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. "make out"은 "무언가가 드러나도록 만드는" 느낌을 가지고 살펴보기로 했었는데요. 오
rtow.tistory.com
'실생활 영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o off의 활용 ②: 폭발하다/화를 내다 (0) | 2023.05.22 |
---|---|
make out의 활용 ②: 알아내다 / 해결하다 (0) | 2023.05.07 |
make out의 활용 ①: 스킨십하다/(양식, 문서를) 작성하다 (0) | 2023.05.07 |
make up의 활용 ②: 마음 먹다/만회하다 (0) | 2023.05.05 |
make up의 활용 ①: 화해하다/말을 지어내다 (0) | 2023.05.04 |